본문 바로가기

공대생 주석마루

(15) LED RGB -LED RGB란기존 LED처럼 단색이 아닌 3색(빨강,파랑,초록) 세가지 색을 하나의 LED에서 나올 수 있게 한 장치를 말한다,PWM기능을 사용하여 미세하게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구성품은아두이노 우노, 브렛보드, 스위치(버튼), LED RGB, 연결선이다. -코드는int rp=11; int gp=10;int bp=9; int rc=7; int gc=6; int bc=5;int red=0; int green=0; int blue=0;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pinMode(rp,OUTPUT); pinMode(gp,OUTPUT); pinMode(bp,OUTPUT); pinMode(rc,INPUT_PULLUP); pinMode.. 더보기
(14) Seven Segment 7세그먼트 -7세그먼트란점을 제외한 7개의 조명편(또는 소자)을 모아 숫자나 문자를 만들 수 있는 장치를 만한다.출력부는 총 10개의 핀을 이용하며, 정가운데 핀 두개만 제외하고는 하나의 핀 당 하나의 조명편(소자) 출력핀을 나타낸다.정가운데 두 핀을 '공통핀'이라 칭하는데, 공통핀을 (+)5V에 연결하는 타입을 애노드(A), GND에 연결되는 타입을 캐소드(K) 이라 한다.애노드(A) 타입은 1을 입력하면 0이 출력되 소자가 꺼지고,캐소드(K) 타입은 1을 입력되면 1이 출력되 소자가 꺼진다.구성품은아두이노 우노, 브렛보드, 연결선, 7세그먼트, 저항, 스위치(버튼) 이다. -코드는int ledout[]={2,3,4,5,6,7,8,9}; int ledall = 8; int bpin = 13; int num = 0.. 더보기
(13) 시리얼(Serial) 통신 -시리얼 통신이란아두이노와 디바이스 간의 양방향 통신을 말한다.디지털 핀 0번(RX)과 1번(TX) 핀을 이용해 통신을 할 수 있다.단, 송수신 용도로 사용할 때는 다른 목적으로 두 핀을 사용하면 안된다. 또한 보드 내의 RX,TX 라이트를 통해 송수신 상황을 알 수 있다.RX는 수신 상황을 TX는 송신(전송) 상황을 말한다.단,이번 프로젝크에서는 핀 사용이 아닌 송수신 통신만 한다. 구성품은아두이노 우노, 브렛보드, LED, 연결선, 저항 입니다. -코드는int led1=LOW; int led2=LOW; int led3=LOW;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Serial.begin(9600); pinMode(11,OUTPUT); pi.. 더보기
(12) DHT11 온습도센서 통신 -DHT11이란 온습도센서로써 아날로그 형태로 온도값와 습도값을 측정하는 센서를 말한다.DHT와 Adafruit_Sensor라는 별도 라이브러리를 추가해 사용할 수 있다.구성품은아두이노 우노, 연결선, DHT11, 브렛보드 이다. -코드는#include #define DHTPIN A1 #define DHTTYPE DHT11 DHT dht(DHTPIN, DHTTYPE); 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Serial.begin(9600); }void loop() { // put your main code here, to run repeatedly: int humid = dht.readHumidity(); int temp = dht.read.. 더보기